國寶第86號: 敬天寺址十層石塔 경천사십층석탑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86號: 敬天寺址十層石塔
所在地 : 韓國ソウル龍山區國立中央博物館
時代 : 高麗忠穆王
高さ: 13.5メートル
指定日 : 1962年12月20日
敬天寺は, 京畿開豊郡廣德面扶蘇山にあった寺で, 高麗時代前期に建てられたと窺える. 敬天寺祉の塔は、日帝時代日本へ無斷搬出されたのを取り戻し、國立中央博物館に所藏された.
三段からなる基壇は, 上から見ると「亞」形で, その上に乗せた10層の高い塔身もまた3層までが基壇と同様の「亞」 形で, 4層から正四角形の平面となっている. 基壇と塔身には華麗な彫刻が施され, 仏, 菩薩, 草花模様など優れた彫刻手法で刻まれている. 4層からは, 石核毎に欄干を廻し, 屋根は, 横で見れると八字模様の入母屋形で瓦を表現するなど, 木造建築を聯想させる豊富な彫刻が纖細に刻まれている. 尚, 1層の石槨には高麗忠穆王4年(1348)に建てたとの記錄があり, 造られた年代を正確に知ることができる.
新しい樣式の石塔が数多く出現した高麗時代の塔の中でも特唯な形態を誇っていて, わが国の石塔の一般的材料が花崗巖であるのに対し大理石で造られたという点も特異と云えよう. 全体的均衡や, 細部的彫刻手法がうまく調和している美しい姿態で目を惹き, 屋根などの軒先が木造建築の構造をそのまま現わしていることで当時の建築樣式を窺える立派な資料といえる. かような樣式は, 以後. 朝鮮時代に辿り. 圓覺寺祉十層石塔(國寶第2號)に影響を与えた.
日本へ搬出され毁損されたのを. 国立文化財硏究所で元來の塔形態に復元し, 現在, 新しく開館した龍山国立中央博物館に展示されている.
국보제86호 : 경천사십층석탑(敬天寺十層石塔)
소재지 서울용산구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고려 충목왕
지정일 1962.12.20
경천사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부소산에 있던 절로, 고려시대 전기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경천사터에 세워져 있었던 이 탑은 일제시대에 일본으로 무단 반출되었던 것을 되돌려 받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단으로 된 기단(基壇)은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이고, 그 위로 올려진 10층의 높은 탑신(塔身) 역시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이었다가, 4층에 이르러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기단과 탑신에는 화려한 조각이 가득 차 있는데, 부처, 보살, 풀꽃무늬 등이 뛰어난 조각수법으로 새겨져 있다. 4층부터는 각 몸돌마다 난간을 둘렀으며, 지붕돌은 옆에서 보아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형태에 기왓골을 표현해 놓는 등 목조건축을 연상케 하는 풍부한 조각들을 섬세하게 새겨 놓았다. 또한 탑의 1층 몸돌에 고려 충목왕 4년(1348)에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만들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새로운 양식의 석탑이 많이 출현했던 고려시대탑으로서도 특수한 형태를 자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석탑의 일반적 재료가 화강암인데 비해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도 특이하다. 전체적인 균형과 세부적인 조각수법이 잘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태로 눈길을 끌며, 지붕돌의 처마가 목조건축의 구조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어 당시의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이러한 양식은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러 원각사지십층석탑(국보 제2호)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일본으로 반출되면서 훼손되었던 원래의 탑 형태를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복원작업을 거쳐 현재 새로 개관한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寶第88號-金冠塚金製銙帶 국보제88호-금관총금제과대 (0) | 2016.04.18 |
---|---|
국보87호: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金冠塚金冠及び金製冠飾) (3) | 2016.03.17 |
國寶第86號: 敬天寺址十層石塔 경천사십층석탑 (0) | 2016.02.17 |
國寶第85號 : 金銅辛卯銘三尊佛立像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0) | 2016.01.09 |
國寶第84號: 瑞山磨崖三尊佛像 서산 마애 삼존불상 (0) | 2015.11.26 |
国宝第83号 :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0) | 2015.11.02 |
댓글을 달아 주세요